분류 전체보기 53

주가 비교에 대해서: 비교를 위한 표준화

동일한 산업군 내의 기업들의 수익률을 비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비교 대상들의 주가를 동일한 기준으로 통일한 후 비교해야 한다. 이 작업을 지수화(indexing)이라고 한다. 지수는 비교 대상 가격을 기준일 가격으로 나눈다. 그 다음 기준가를 곱한다. 가격지수(price index) = price1(대상일 주가) / price0 (기준일 주가) * 기준가

금융 2021.08.29

적정주가 산출과 관련해서

요약정리 애널리스트의 주 업무는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주식의 적정 가격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valuation model을 사용한다. 적정 주가는 계산하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발생한다. 누군가는 현재 주가가 너무 높다고 판단하여 매도하려 들고, 다른 누군가는 너무 싸다고 판단하여 매수하려 들기 때문이다. 이 때 매도하려는 포지션을 short 포지션이라고 한다. 매수하거나 유지하려는 포지션을 Long 포지션이라고 한다. 애널리스트(Analyst) 주식 가치를 산정하는 직업. 애널리스트는 기업 실사, 전망, 경쟁사 분석, CEO인터뷰 등을 통해 기업을 분석한 뒤에 향후 주가 예측을 위한 밸류에이션(주가 산출)을 시행한다. 이로써 목표 주가를 산정하고는 분석..

금융 2021.08.28

화폐의 시간가치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 :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화폐의 가치를, 화폐의 시간가치라고 한다. PV (present value) = 현재가치 FV (future value) = 미래가치 화폐의 미래가치(FV) 계산 FV = 현재 돈의 가치 + 이자 = PV + PV*이자율 = PV * (1+ 이자율) PV = FV / (1 + 이자율) - 금융상품 벨류에이션의 기본 개념은 화폐의 시간가치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 - 다양한 금융상품의 valuation은 금융상품을 현재 매입해 미래까지 보유할 때의 가치와, 미래에 사기로 약속하고 그 때까지 현금으로 얻는 이자소득의 가치가 동일하다는 전제에서 출발.

금융 2021.08.26

금융상품 개념 정리(은행, 보험, 주식, 파생상품, 구조화 상품)

은행 : 은행이 돈을 버는 기본적인 방식은 대출이다.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이다. 그러나 그 많은 대출을 오롯이 은행의 자산으로만 운용하지 않는다. 사실 대부분의 대출금은 다른 사람들이 은행에 맡긴 예금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은행은 은행은 예금에 줘야 하는 이자(예금 금리)보다 높은 이자(대출 금리)로 돈을 빌려줘 그 차액을 갖는다. 이 차액을 '예대금리차' 또는 '예대마진'이라고 한다. 현금흐름의 관점에서 보자. 만약 개인이 은행에서 대출하면 초기에 큰 양의 현금흐름이 발생한다. 그리고 약정 기간 동안 지속적인 음의 현금흐름이 발생한다. 반대로 은행은 대출 초기에는 큰 음의 현금흐름이 발생하고 이후에는 지속적인 양의 현금흐름이 발생한다. 보험 : 보험은 평소에 지속적인 음의 현금흐름을..

금융 2021.08.24

금리 용어 및 개념 정리

금리 : 돈을 빌려준 대가로 주거나 받는 이자 기준금리 : 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로서 간단히 ‘기준금리’(base rate)라고도 한다. 중앙은행은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국의 경우는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다. 이렇게 결정된 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인 콜금리에 즉시 영향을 미치고, 장단기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의 변동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콜금리 : 금융기관간 영업활동 과정에서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30일 이내의 초단기로 빌려주고 받는 것을 ‘콜’이라 부르며, 이때 은행ㆍ보험ㆍ증권업자 간에 ..

금융 2021.08.19

부채와 자본과 레버리지

부채비율을 어떻게 줄여 나가야 할까? 우리가 늘 하는 생각이다. 개인에게는 부채를 없애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업의 경우에는 다르다. 부채 비율을 줄이는 방법에는 부채를 감소시키는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다.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따라서 부채를 줄이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1. 부채를 줄인다. 2. 자본을 늘린다. 기업들은 자산을 팔아 부채를 갚는 대신 자본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신주를 발행한다든지, 자산을 재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말이다. 무작정 부채를 줄인다고 자산을 매각하는 일은 경계해야 한다. 부채비율을 줄이는 목적은 부채와 이자비용을 감소시켜 재무구조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다. 부채 비율 감소 자체가 목적이 되면 비 효율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부채가 줄여 나가야 할 대..

금융 2021.07.18

직장인 월세 세액공제 받는 법(+예시)

월세 세액 공제 받는 법 1. 공제 기준 * 1년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월세의 12퍼센트 공제 * 1년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7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 월세의 10% 공제 * 전용면적 85m2(약 25.7평) 이하 또는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인 주택의 세대주 위의 기준을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다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계약서와 주민등록등본의 주소지가 일치해야 합니다. 전입신고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전입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라면 월세를 내더라도 공제 받지 못합니다. 위의 조건을 충족한다면 2018년 1월 1일부터 낸 월세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독주택뿐만 아니라 오피스텔과 고시원 등도 주택으로 등기되어 있다면 면적에 무관하게 모두 ..

부동산 2021.05.16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발생원인 2008년 초반부터 미국의 경기 후퇴 조짐은 확연해 보였다. 미국 기업이 신제품 개발을 전보다 게을리 한 탓일까? 기술 혁신이 갑자기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나? 아니었다. 2008년 경제 불안정의 근인은 금융에 있었다. 정확히 말해 서브프라임(비우량) 주택 담보 대출이라고 에둘러 표현하는, 일종의 채무를 되 갚지 못한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생긴 신용 시장 경색 때문이었다. 우리의 세계적 금융 시스템은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 있는 탓에, 앨라배마부터 위스콘신에 이르기까지 상대적으로 가난한 지역의 가구들도 복잡한 대출 구조를 타고 주택을 사거나 2차 담보 설정을 하는 일이 가능했다. 어떤 대출은 (대출자들 모르게) 비슷한 대출끼리 한데 묶여 부채 담보부 층권(CDOs)으로 재구성된..

부동산 2021.05.11

채권과 근저당권과 질권

채권: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무이행약속증서 개인이 발행하면 차용증서(차용증) 채권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사기업 등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을 일컫는다. 국가가 발행하면 국채이며 기업이 발행하면 회사채이다. 채권에는 '기한부 증권'과 '확정이자부 증권'이라는 것이 있다. 기한부 증권은 상환기간이 정해진 채권이다. 확정이자부 증권은 이자가 확정되어 있는 채권이다. ========= 근저당권 일정한 한도액까지 담보하기 위해 설정하는 저당권 =========== 저당권 계속적인 거래로 발생하여 증감, 변동하는 다수의 채권을 장래의 결산기에 일정한 한도액까지 담보하기 위해 부동산에 설정하는 것을 저당권이라고 한다. ================ 저당권과 근저당권..

부동산 2021.04.21

"유상증자"란?(有償增資, rights issue, rights offering, paid-in capital increase)

유상증자란?(rights issue) 유상증자란 회사가 주식을 발행해 돈을 받고 팔아 자본금을 늘리는 방법을 뜻한다. 이때,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증자(增資)라고 한다. 증자에는 무상증자와 유상증자 두 가지가 있다. 기업이 증자를 하는 이유는 중장기적인 사업을 하기 위해서든, 자본금 비율을 높여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든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어떤 이유가 되었든 돈이 필요한 것이다. 기업이 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아래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기업이 돈을 조달하는 방법 채권발행(원금과 일정 비율의 이자의 상환을 보장하는 채권을 발행한다) 은행대출(은행에서 대출한다) 증자(주식을 추가로 발행한다) 채권발행과 은행대출은 원금과 이자 상환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만기를 정해 돈을 빌릴 경우 그 전까지..

금융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