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부터 갑자기 겨드랑이 부분이 혹처럼 튀어나온다든지 통증이 느껴지시나요? 또는 아랫 가슴, 팔뚝, 팔뚝, 옆구리에 혹처럼 단단한 멍울이 느껴진다면 부유방일 수 있습니다.
부유방 자가진단법
1. 겨드랑이 부분에 딱딱한 멍울이 만져진다.
2. 생리주기에 맞춰 겨드랑이 통증이 발생한다.
3. 임신 또는 출산 후 겨드랑이가 튀어나온 느낌이 든다.
4. 겨드랑이 주위로 유듀와 비슷한 돌기가 있다.
5. 겨드랑이에 많은 땀이 난다. 비슷한 체형과 비교했을 때 겨드랑이가 많이 튀어나왔다.
위 증상 중 두 세 가지 이상 해당된다면 부유방 검진을 받아보는 편이 좋습니다.
부유방이란
부유방은 말 그대로 두 개의 가슴 외의 또 다른 가슴이란 뜻입니다. 영어로는 accessory breast라고도 합니다. 원래 유방은 태아일 때에는 겨드랑이부터 사타구니까지 유선을 따라 여러 개가 존재합니다. 즉, 처음에는 부유방인 상태가 정상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며 출생이 다가올수록 가슴의 두 부위만 남고 나머지 유방들은 퇴화하게 됩니다.
부유방은 이 때 퇴하하지 못하고 남은 유선 조직을 말합니다.(겨드랑이에 남는 것이 대표적이지만 겨드랑이 외의 사타구니나 드물게는 등 부위에도 남아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부유방은 선천적인 것으로, 어릴 때는 보이지 않다가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일반 유방과 함께 발달합니다. 사춘기가 끝나면서 부유방의 성장도 끝나느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부분 겨드랑이에 발생하며, 이 때 한 쪽만 남아있기보다는 양측 겨드랑이에 쌍으로 자리잡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부유방에는 부유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리기간의 통증
부유방 정상 가슴과 똑같이 유선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여성호르몬에 영향을 받는 것 역시 같습니다. 생리기간 동안 가슴이 커져 유방 통증이 느껴진다면, 부유방에서 역시 유사한 통증을 느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때의 통증은 찌릿거릴 수도 있고 손가락으로 누르는 듯한 압통인 경우도 있습니다.
부유방은 반드시 치료해야 하나요?
부유방은 퇴화하지 않은 유방조직일 뿐 통상의 유방처럼 정상 유방조직입니다. 따라서 부유방을 보유한 사람이 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면 반드시 제거해야할 필요는 없습니다. 외려 위험한 경우는 전문의의 진단 없이 본인이 부유방이라고 단정하는 경우입니다.
겨드랑이에 느껴지는 혹이나 통증은 부유방이 아닌 악성 종양이나 기타 질환일 수도 있기 떄문에 반드시 전문의 진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드물기는 하지만 부유방에 종양이나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부유방의 치료
부유방은 일반적으로 그 크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크기가 작은 경우 겨드랑이 안 쪽을 마취하고 레이저나 초음파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흉터가 거의 남지 않으며, 남더라도 눈에 띄지 않을 정도인 것이 일반적입니다.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절개하여 부유방 조직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 때, 부유방과 관련된 유선조직과 부유륜, 부유두를 모두 제거합니다. 이 때 눈에 보이는 흉터가 남습니다. 부유방의 크기에 따라, 또는 유방 전문의의 숙련도에 따라 그 흉터 모양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병원을 잘 알아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부유방 제거 후
사람의 몸은 블럭처럼 결합되어 있지 않습니다. 유선조직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부유방을 제거한다고 해도 주위에 유선조직이 남아 있으면 다시 발생하기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번 수술을 받아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숙련도가 있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